필자는 이미 스위치가 두대가 있었습니다. 국내 정발 하자마자 구매한 스위치 1대 그리고 동물의 숲 에디션 한 대를 구비하고 있었습니다. 국내 정발 스위치는 제 것 나머지 동숲 에디션은 배우자의 것이었습니다.
저는 헤비유저로 많은 게임을 하기에 스위치를 잘 사용하였지만 배우자는 육아도 하며 집안일을 하다 보니 고정적으로 플레이를 하기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기존 스위치 한대를 팔고 동숲 에디션을 제가 사용하고 들고 다니기 편한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를 구매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미 사용하고 있는 많은 분들에게 색깔을 문의하였을 떄 소장용으론 포켓몬 한정판인 자마젠타 에디션, 플레이용으론 코랄과 더 콰이즈를 추천하였습니다.
필자는 배우자와 상의 끝에 더 콰이즈로 구매를 진행하여 구매를 하였습니다.
박스는 딱 보기에도 이전 닌텐도 스위치보다는 작은 크기였습니다.
라이트를 손으로 잡고 있는 앞면의 모습은 휴대용임을 강조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내부 구성물은 스위치, 충전기, 설명서 끝입니다. 이전 스위치에선 조이콘, 독, 조이콘 그립, 조이콘 스트랩, HDMI 케이블 등이 있었지만 이것들은 다 빼고 최소한의 필요한 구성품만 넣은 느낌이었습니다.
버튼의 색깔은 하얀색이며 그 외의 부분은 푸른색인 것이 특징입니다.
윗면에는 트리거 버튼과 전원 버튼 및 음량 조절 버튼, 그리고 3.5mm 오디오 잭을 꽂을 수 있는 헤드셋 단자 그리고 게임 카트리지를 넣을 수 있는 카드 슬롯이 있으며 환기구가 존재합니다. 뒷면에는 Micro SD카드를 넣을 수 있는 슬롯이 있습니다.
이제 기존 스위치를 대표하여 동숲 에디션과 비교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스위치보다 확실히 크기가 작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액정 크기도 작아지고 무게도 상당히 가벼워졌습니다.
D패드가 버튼인 기존 스위치와 다르게 라이트는 십자키로 되어 있어 누르기 편한 것을 볼 수 있고 뒷면은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탠드가 있는 기존 스위치와 다르게 라이트는 없애버렸습니다. 윗면은 크게 다른 점은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라이트의 아쉬운 점은 조이콘에서 발생하는 쏠림 현상이 일어날 시에 조이콘처럼 갈아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수리를 통째로 맡겨야 한다는 부분과 진동이 없는 부분입니다. 그 외에는 휴대기로 사용하기 좋은 기기라고 생각이 됩니다. 배터리 사용기간은 개선판보다 조금 적지만 플레이하기엔 적당한 용량을 가지고 있어 좋다고 생각하시게 될 것 같습니다.
P.S 필자가 언박싱을 쓰자마자 라이트 블루 컬러가 공개되었네요 ㅠ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 및 수리)포켓워커 구매 및 배터리 교체 (0) | 2021.04.08 |
---|---|
(언박싱) New 3DSXL 피카츄 에디션 언박싱 (0) | 2021.03.27 |
(언박싱) 엑스박스 시리즈 엑스 (XSX) 언박싱 - 내돈내산 (0) | 2021.03.13 |
(리뷰) 에버미디어 캡쳐보드 GC553 리뷰 - 내돈내산 리뷰 (0) | 2021.03.01 |
(언박싱) 호찌콘(?) 언박싱 (0) | 2020.09.05 |